- 처음화면
- 이용안내
- 도움말
검색
검색 연산자의 활용
1) 연산기호
and(&) 연산
A and B(A & B) 는 A와 B 모두를 포함하고 있는 결과를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고구려와 중국 두 단어가 모두 포함된 자료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아래처럼 입력합니다.
예를 들어, 고구려와 중국 두 단어가 모두 포함된 자료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아래처럼 입력합니다.

or(|) 연산
A or B(A | B) 는 A 또는 B 어느 한 단어라도 포함하고 있는 결과를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이승만 또는 프란체스카 두 단어중 하나라도 포함되어 있는 자료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아래처럼 입력합니다.
예를 들어, 이승만 또는 프란체스카 두 단어중 하나라도 포함되어 있는 자료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아래처럼 입력합니다.

not(!) 연산
A not B 는 A는 포함하고, B는 들어있지 않은 결과를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김구관련 자료 중에서 임시정부라는 단어가 제외된 자료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아래처럼 입력합니다.
예를 들어, 김구관련 자료 중에서 임시정부라는 단어가 제외된 자료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아래처럼 입력합니다.

within(/W n) 연산
A /W2 B 는 A와 B 두 단어가 서로 순서대로 인접하여 2단어 내에 있는 문서를 보여줍니다.
괄호안의 숫자 n에는 1, 2, 3 같은 자연수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는 A와 B가 떨어져 있는 글자수를 지정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A /W10 B는 A 와 B가 순서대로 10글자 안에 인접한 문서를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박세당과 사변록이 순서대로 인접하여 있는 문서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아래처럼 입력합니다.
괄호안의 숫자 n에는 1, 2, 3 같은 자연수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는 A와 B가 떨어져 있는 글자수를 지정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A /W10 B는 A 와 B가 순서대로 10글자 안에 인접한 문서를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박세당과 사변록이 순서대로 인접하여 있는 문서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아래처럼 입력합니다.

near(/N n) 연산
A /N2 B 는 A와 B가 순서와 관계없이 인접관계가 2인 결과를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이광수와 학병 두 단어가 순서와 관계없이 인접하여 있는 자료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아래처럼 입력합니다.
예를 들어, 이광수와 학병 두 단어가 순서와 관계없이 인접하여 있는 자료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아래처럼 입력합니다.

2) 구문검색
둘 이상의 검색어를 큰따옴표(" ")로 묶어 검색할 경우 그 검색 어구와 완전하게 일치(띄어쓰기까지 일치)하는 문구가 포함된 검색결과를 보여줍니다. 둘 이상의 검색어가 완전히 일치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포함된 결과를 원할 경우 near 또는 within 검색 연산자를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3) 복합검색
두 가지 이상의 검색 연산자(and, or, not 등)를 혼용하는 검색입니다.
복합 검색식에서는 연산의 우선순위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루어지며, 괄호를 이용하여 연산의 우선 순위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이나 광주에서 일어났던 동맹휴학 사건에 관한 자료를 찾고자 하는 경우 아래처럼 입력합니다.
복합 검색식에서는 연산의 우선순위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루어지며, 괄호를 이용하여 연산의 우선 순위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이나 광주에서 일어났던 동맹휴학 사건에 관한 자료를 찾고자 하는 경우 아래처럼 입력합니다.
